중국 북서부에 위치한 신장 위구르 자치구는 과거 서유기 무대로 알려졌으며 서역이라고 불리는 곳입니다. 신장 지역은 지리적으로 아시아 대륙 중앙부에 위치하며, 고대 실크로드에서 중국과 중앙아시아를 연결하는 요충지에 해당합니다. 신장 지역 면적은 166만제곱킬로미터로 중국 면적 1/6을 차지하며 중국 성 중 면적이 가장 넓고 한반도 면적 7.5배 크기입니다. 중국 최대 면적을 자랑하는 자치구답게 8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습니다.
척박하지만 광물로 가득한 동투르키스탄
신장 지역 면적 56%는 산지이고, 44%는 저평한 분지와 사막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톈산산맥과 쿤룬산맥 사이에 위치한 타림 분지 면적은 약 56만제곱킬로미터이고, 분지 중앙에는 위구르어로 '살아서 돌아올 수 없을 정도로 끝이 없이 넓은 땅'을 뜻하는 타클라마칸 사막이 발달했습니다. 사막 면적은 약 33.7제곱킬로미터로 세계에서 두번째로 큽니다. 톈샨산맥 위쪽으로 몽골알타이산맥 사이에는 방목이 행해지는 준가얼 분지가 위치했습니다. 준가얼은 몽골어로 서쪽을 의미하는데요. 또한 신장 지역은 중국 육지 석유 매장량의 약 30%, 천연가스 매장량의 약 34%, 석탄 매장량의 약 40%를 차지하며, 희토류를 비롯한 유용 광물이 매장된 광물 자원의 보고입니다.
신장 지역은 매우 척박한 땅이지만, 인구는 2445만명이고, 47개 소수민족이 분포합니다. 2010년 인구센서스를 보면 위구르족 45.8%, 한족 40.5%, 카자흐족 6.5%, 후이족 4.5^, 기타 2.7% 등입니다. 행정 구역으로는 카자흐족, 후이족, 키르기즈족, 몽골족 등 4개 소수 민족 자치현, 6개 자치군, 43개 소수 민족촌 등이 있습니다. 한족을 제외한 소수민족 비율은 60% 정도인데요. 한족은 우루무치와 창지 등 비교적 잘사는 북부 회랑에, 위구르족은 카스를 비롯한 쿤룬산맥 북사면에 해당하는 가난한 남부 지역에 주로 분포합니다. 주도인 우루무치는 몽골어로 아름다운 목장을 뜻하며 인구는 약 352만명이고 한족이 전체의 75%, 위구르족이 13% 정도를 차지합니다. 위구르족 중심 지역은 서쪽 관문 도시 카스와 투루판 분지 등이죠.
신장 지역에 위구르족이 거주한 역사는 매우 오래됐습니다. 위구르족은 중앙아시아에 분포하는 일명 돌궐족이라고 하는 투르크계입니다. 이들은 파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몽골, 우즈베키스탄, 터키 등지에도 분포하지만 주요 분포 지역은 신장 지역입니다. 이때문에 신장 지역을 동투르키스탄으로 부릅니다. 위구르족은 형질인류학적으로 캅카스 인종에 속하지만 언어는 알타이 어족에 속하며 우즈베크어와 비슷합니다. 신장 지역에는 불교가 이슬람교보다 먼저 전파되지만 위구르족 대부분은 16세기경 들어온 수니파 이슬람을 믿습니다. 위구르족은 오랫동안 이민족 지배를 받았고, 인종적으로 혼혈이 많이 됐으며 언어와 문자는 아랍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위구르족은 여러 지역에 분산 거주하여 민족적 정체성이 희박하지만, 이슬람이라는 종교를 매개로 민족 문화와 공동체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18세기부터 시작된 위구르족의 분리주의 움직임
위구르족 분리주의 움직임 역사는 다른 소수 민족에 비해 꽤 오래됐습니다. 1775년 청나라 6대 황제 건륭제는 동투르키스탄으로 알려진 위구르족 거주 지역을 정복합니다. 위구르족은 만주족 통치에 대항해 1827년 이후 42차례나 반란을 일으킵니다. 1864년 반란에 성공해 만주족을 추방하고 야쿠브백왕을 중심으로 카슈가르 왕국, 일명 동투르키스탄국을 세웁니다. 왕국은 당시 오스만 제국, 러시아, 영국 등과 조약을 맺고 독립 승인을 받지만 청나라가 이를 승인하지 않습니다. 1876년 청나라가 다시 침공하고, 당시 영국은 러시아 남진을 억제하기 위해 청나라 군대를 지원합니다. 이후 1884년 11월 18일 청나라가 완전히 점령해 병합하고 지명도 동투르키스탄에서 새로운 영토 경계라는 뜻의 신장으로 바꿉니다.
청나라로 편입된 후 신장 지역에서는 위그르족 여자와 중국인 남자가 결혼하는 새로운 풍속도가 만들어지면서 위구르족 남자들의 불만이 쌓입니다. 1911년 이후 중국인 민족주의 지도자 썬야트센이 주도한 분리 독립 운동이 전개되고, 1930년대에 반란이 자주 일어났습니다. 위구르 분리주의자들은 1933년~1934년에 동투르키스탄이슬람공화국 건국에 성공합니다. 하지만 구소련의 정치적 군사적 지원을 받은 중국 공산당에 의해 이내 제압당하고, 1949년 동투르키스탄은 중화인민공화국에 합병됩니다.
1989년 이후 위구르족 분리주의자들은 위구르 민족주의를 주창하는 동투르키스탄 이슬람운동을 조직해 폭동과 테러를 벌이고 있습니다. 1990년 이후 여러 차례 폭동이 일어났고 2009년 7월 우루무치에서 대규모 유혈 사태가 발생해 수백명이 사망하고 천여명이 다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13년 10월23일 베이징 천안문 광장에서 위구르족 분리주의자가 차를 타고 군중 속으로 돌진한 사건도 있었습니다. 이와 같이 분리주의자들의 활동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위구르족의 중국의 경제적, 종교적 탄압에 대한 불만
위구르족 분리주의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있지만, 크게 두 가지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한족과 위구르족 간 오랫동안 쌓인 민족적 갈등입니다. 1970년 이후 한족이 대거 유입하면서 민족 분포가 바뀌고, 한족 문화가 확산되면서 전통적인 이슬람식 문화와 종교 생활을 위협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중국 정부가 이슬람식 종교활동을 제한하면서 불만이 쌓인 결과입니다. 다른 하나는 신장 지역 경제적 낙후성 및 한족과 위구르족 간 소득 격차 확대라는 경제적 갈등입니다. 이주한 한족들은 도시에서 상공업에 종사해 지역 상권을 독점하고 부동산 시장을 장악해 임대료 인상을 부추기는 등 원주민의 삶의 터전을 와해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장 지역은 지하자원 보고임에도 불구하고 중국 정부가 지역 발전에 소극적일 뿐 아니라 한족이 주로 거주하는 우루무치를 비롯한 북부 회랑에만 투자하고, 위구르족이 많이 분포하는 남부 지역은 소외시킨다는 불만이 커지면서 분리주의자들이 크고 작은 폭동과 테러를 일으키고 있는 것입니다. 여기에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서 활동하는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이 분리주의자들을 추동하고 있습니다.
신장 지역은 중국 지하자원 보고일뿐만 아니라 중국이 현재 추진 중인 일대일로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곳입니다. 전략적 요충지에서 등장하는 분리주의 움직임에 중국 정부가 가만히 있을리 만무합니다. 그렇지만 위구르족이 느끼는 민족적, 종교적 정체성 훼손과 상재겅니 경제적 박탈감 문제르 해결하지 않는 한 신장 지역은 중국의 새로운 화약고 구실을 할 것이 틀림없습니다.
'세계의 분쟁지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데타 반복되는 니제르, 도대체 왜?...니제르의 역사 (0) | 2023.08.05 |
---|---|
출구가 보이지 않는 카슈미르 분쟁 정리 (0) | 2023.03.09 |
인도네시아 분쟁지역, 동티모르부터 서파푸아까지 (0) | 2023.02.16 |
소련 아프가니스탄 침공, 탈레반의 복귀 (0) | 2023.02.15 |
아프가니스탄의 지리와 복잡한 종족 구성 (0) | 202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