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분쟁지역

중동전쟁의 발발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결성

hongsamdori 2023. 1. 12. 07:00
반응형

이스라엘 건국과 동시에 발발한 중동전쟁

Six day war

UN 결의안에 대해 팔레스타인 아랍인은 물론이고 주변 아랍국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이스라엘 건국과 동시에 전쟁이 일어납니다. 이를 제1차 중동전쟁이라고 합니다. 1948년 5월14일 이스라엘이 건국을 선언하자 미국은 이스라엘 건국을 승인합니다. 하지만 그날 밤 이집트,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 등 아랍 연합군이 이스라엘을 침공합니다. 전쟁은 애초에 예견됐던 것이었습니다. 주변 아랍국들은 만약 이스라엘을 건국하면 전쟁을 일으킬 것이라고 경고한 상태였기 때문입니다. 전쟁은 1949년 1월7일 이스라엘의 일방적인 승리로 끝납니다. 전쟁으로 팔레스타인 인구 약 5700여명이 사망하지만, 이스라엘은 영국이 위임 통치하던 서부 팔레스타인의 80%를 가져가게 됩니다. UN 분할 영토보다 넓은 땅을 점령한 것입니다.

1956년 일명 수에즈 전쟁으로 불리는 제2차 중동 전쟁이 일어납니다. 이집트가 수에즈 운하를 국유화하고 이스라엘 선박 통행을 금지하면서 1956년 10월29일 전쟁이 시작됩니다. 이스라엘은 수에즈 운하 공동 소유국이었던 영국과 프랑스 지원을 받아 이집트를 공격해 승리를 거둡니다. 하지만 미국과 소련 압력으로 1957년 3월 휴전하고 점령 지역에서 철수합니다.

1967년 6월 일명 6일 전쟁이라 불리는 제3차 중동 전쟁이 일어납니다. 1967년 6월5일 시작된 전쟁은 6월10일 이스라엘의 일방적인 승리로 끝납니다. 이스라엘은 이집트와 요르단, 시리아를 기습 공격해 시나이반도는 물론 서안지구, 골란고원 등을 점령합니다. 이스라엘 영토가 4배 정도 확대된 상태로 전쟁이 끝납니다. 그러나 40만여명 아랍인 난민이 새로 발생하면서 이스라엘에 대한 인접 국가들의 적개심은 더욱 깊어집니다.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팔레스타인에 대한 영향력은 영국에서 미국으로 완전히 전환됩니다. 6일 전쟁에서 패한 아랍 국가들은 1973년 제4차 중동 전쟁을 을으킵니다. 전쟁 초기 구소련 원조로 군사력을 강화한 아랍국가들이 승기를 잡지만, 이스라엘 반격으로 궁지에 몰려 휴전합니다.

네 차례 중동 전쟁 후, 1977년 11월 미국 카터 대통령 중재로 이스라엘 베긴 총리와 이집트 사다트 대통령이 캠프데이비드 협정을 체결합니다. 이 협정에서 이스라엘은 점령지였던 시나이반도를 이집트에게 반환하는 대신, 자국 선박이 수에즈 운하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습니다. 이스라엘이 점령한 가자지구, 골란 고원, 서안지구, 동예루살렘 등은 이스라엘이 계속 관리하게 됩니다. 이를 계기로 이스라엘과 아랍국 간에 표면적인 평화는 조성되지만, 난민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유대인과 아랍인 간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집니다. 팔레스타인 아랍인 난민에 대한 정확한 집계는 없지만, UN 팔레스타인 난민 구호기구 자료에 의하면, 총난민 수는 약 544만명이고, 요르단, 가자지구, 서안지구, 시리아, 레바논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결성과 인티파다

Arafat

아랍인들은 1964년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를 조직하고 잃어버린 땅을 되찾기 위한 투쟁 활동을 전개합니다. 팔레스타인해방기구 목적은 팔레스타인에 아랍인 독립 국가를 건설하는 것입니다. 1969년 팔레스타인해방기구 의장으로 취임한 야세르 아라파트는 무장 투쟁 조직을 결성하고, 게릴라전을 통해 이스라엘을 상대로 끊임없이 대항합니다. 팔레스타인 아랍인의 집단적인 저항 운동은 1987년 인티파다로 구체화됩니다. 인티파다란 아랍어로 봉기 또는 반란을 뜻하며, 가자지구 피난민 수용소에서 시작된 반 이스라엘 투쟁을 말합니다. 1987년 시작된 인티파다는 팔레스타인 전역으로 확산돼 1990년까지 지속되며 그 과정에서 약 1천명 사망자가 발생합니다.

인티파다를 시작으로 반이스라엘 투쟁이 격화되는 과정에서 1988년 11월15일 팔레스타인해방기구는 가자지구와 서안지구를 기반으로 하는 팔레스타인 국가 독립을 일방적으로 선포합니다. 1988년 11월 UN은 팔레스타인 아랍인 독립 국가 결의안을 채택하지만 미국과 이스라엘은 반대표를 던집니다.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1989년 4월 아라파트가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합니다. 1991년 발생한 걸프 전쟁과 구소련 붕괴는 팔레스타인 아랍인 독립 국가 건설에 중요한 전환점이 됩니다. 팔레스타인해방기구가 이스라엘과 협상을 시도하려는 변화를 보이기 때문입니다. 1993년 1월 미국 중재로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해방기구 간 비밀 협상이 시작되고, 1993년 9월13일 완성됩니다. 이를 오슬로 협정이라고 합니다. 주요 내용은 팔레스타인 임시 자치정부 수립, 국경 확정, 예루살렘 지위, 난민 문제, 유대인 정착촌 문제 등을 향후 논의해 합의하기로 한다는 것입니다. 협정의 핵심은 팔레스타인해방기구가 이스라엘에 대한 무장 투쟁을 중지하고,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국가 수립을 위한 땅을 단계적으로 되돌려준다는 이른바 평화공존과 땅의 교환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슬로 협정에 의해 1994년 9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출범하고, 가자지구와 서안지구의 예리코에서 자치가 행해집니다. 1995년 9월 일명 오슬로 협정이 체결됩니다. 협정의 핵심은 자치 지역을 가자지구와 예리코 외 서안지구 다른 도시, 즉 헤브론, 나블루스, 툴카름, 칼킬야, 제닌, 베들레헴, 라말라 등지와 450개 마을로 확대하고 이스라엘이 점령하고 있는 서안지구를 세 지역 등으로 구분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스라엘 극우파들이 오슬로 협정에 반대하면서 이스라엘 라빈 총리가 1995년 11월 암살을 당하는 비극이 일어납니다. 1996년 1월20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구성을 위한 총선거가 실시되고, 야세르 아라파트가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됩니다. 하지만 가자지구를 기반으로 하는 하마스 등 과격 단체들이 자치정부 출범에 반대하며 테러를 벌이면서 평화 협정을 위태롭게 만듭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