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한 도시 둘러보기

북한 강원도의 도청소재지는 어디?

반응형

금속공업으로 유명한 황해북도

이번 시간에는 인구 210만명의 황해북도와 남북으로 갈라진 북한의 강원도를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황해북도는 '북도'이지만, 황해남도 동쪽에 위치합니다. 황해북도의 동쪽에는 강원도, 북쪽에는 남포특별시와 평양직할시, 평안남도가 있습니다. 황해북도는 평야가 넓게 펼쳐져 있는 황해남도에 비해 산지와 구릉이 많습니다. 바다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보이는데, 북한에서는 남쪽에 위치한 만큼 다른 지역보다 평균 기온이 높은 편입니다. 황해북도는 도청 소재지인 사리원시를 중심으로 화학공업과 기계공업이 발달했습니다. 황해북도 봉산군은 석회석이 많이 매장돼 있어 시멘트공업으로 유명합니다. 황해북도의 2개 도시 중 하나인 송림시에는 황해제철소가 있어 중공업이 발달했습니다. 특히 금속공업과 채굴업은 황해북도 경제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평산군에는 우라늄 광산도 있습니다.

황해남도 사리원시 성불사

황해남도의 명물 성불사

정방산의 주봉인 청성봉 기슭에 있는 절이 바로 성불사입니다. 황해도 해서지방 9개 군의 사찰을 맡아보던 곳입니다. 898년에 도선국사가 창건했고, 1375년에 나옹화상이 다시 지었습니다. 이때 다수의 탑을 새로 조성했는데, 특히 성불사를 비롯해 부속 암자에 15개의 석탑을 세웠다고 합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후 1751년과 1924년에 각각 중건과 보수가 이뤄졌습니다. 조선시대에 정방산성을 축조한 이후부터 성불사는 이 지방의 종찰이 됐습니다. '부처를 이루는 절'이라는 뜻으로 이은상의 시조에 홍난파가 작곡한 노래 '성불사의 밤'에 나오는 절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남한과 북한에 걸쳐 있는 땅 강원도

강원도는 북한 기준으로 남동부에 위치합니다. 주요 도시는 원산시와 문천시이며, 그 외에 15군과 1지구로 구성돼 있습니다. 강원도는 경기도와 더불어 남과 북으로 분단돼 있는 지역입니다. 다만, 북한에서는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기존의 경기도 땅을 황해남도와 황해북도에 모두 포함시켰기 때문에 경기도라고 칭하는 지역이 없어졌습니다.

북한 내에서는 남쪽에 위치한 만큼 다른 지역보다 따뜻합니다. 특히 동해 연안 도시들은 기후가 온화한 편입니다. 그렇지만 지역 자체는 낙후된 곳에 속합니다. 남북관계 악화로 금강산 관광이 금지된 이후로는 경제적으로 더 어려워졌습니다. 하지만 원산이 고향인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집권 이후 강원도도 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강원도는 원래 금강산, 명사십리와 같이 뛰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관광자원이 많습니다. 최근 김정은의 지시로 마식령 스키장이 건설되고, 세포군에는 대규모 축산단지가 들어서는 등 발전 가능성도 있는 곳입니다.

금강산

예로부터 소문난 명산, 금강산

태백산맥 북부에 위치한 1638m 높이의 산으로 강원도 금강군, 고성군, 통천군에 걸쳐 있습니다. 금강산뿐 아니라 그 일대의 산줄기를 모두 금강산이라고 부릅니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비로봉입니다. 예로부터 경치가 수려해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도 알려져 있습니다. 문인들은 금강산의 아름다움을 시로 읊고 화가들은 화폭에 담았습니다. 철따라 전경이 다르다는 이유로 그 이름도 각각 다릅니다. '금강산'은 봄에 부르는 이름이며, 여름에는 '봉래산', 가을에는 '풍악산', 겨울에는 '개골산'이라고 불립니다. 금강산 유역은 휴전선과 가까운 만큼 자연 그대로 잘 보존돼 있습니다.

북한 최초의 스키장, 마식령 스키장

원산시 마식령에 세워진 스키장으로 2013년의 마지막 날 완공해 새해에 문을 열었습니다. 1400만제곱미터 면적의 스키장에는 4면의 슬로프가 있으며, 1360m인 대화봉 정상까지 케이블카가 설치돼 있습니다.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미국의 전직 농구선수 데니스 로드먼을 비롯해 해외 인사들을 초청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곳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금강산 관광사업을 재개하면서 마식령 스키장에도 관광객을 유치해 외화 수입을 올리려는 계획입니다.

대규모 축산단지가 있는 세포등판

세포등판은 강원도 세포군의 구릉지역입니다. 2017년 10월, 이곳에 대규모의 축산단지가 들어섰습니다. 무려 서울시의 80%에 달하는 면적입니다. UN 식량농업기구(FAO)의 권고로 시작된 사업이며, FAO로부터 예산도 지원받았습니다. 세계적인 농축산 컨설팅업체의 도움을 받아 현대적인 시설과 생산시스템을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초현대식 목장이 건설되면서 주위 인프라도 개선됐습니다. 부근의 수도시설과 주택도 모두 재정비했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