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북한 도시 둘러보기

(8)
트롤리버스부터 지하철까지 평양의 교통 평양시민들의 발, 무궤도전차, 궤도전차 평양에는 전깃줄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아 다니는 독특한 대형버스를 볼 수 있습니다. 이는 트롤리버스로 북한에서는 무궤도전차라고 부릅니다. 철로 없이 다니는 전차라는 의미입니다. 석유를 사용하지 않는 만큼 매연이 나오지 않고 소음도 적습니다. 상해 등에서 볼 수 있는 교통수단이지요. 하지만 전기 사정이 좋지 않을 때는 제대로 운행되지 않는 형편입니다. 무궤도전차는 평양에서 1962년 5월 처음으로 운행됐습니다. 이후 현재까지 노선은 총 57.7km가 건설돼 있으며 평양 시내 노선은 6개입니다. 평양무궤도전차공장에서 생산되며 50~170명이 탑승하는 15종류 이상의 차량이 운행되고 있습니다. 최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각별한 관심 속에서 새로 개발된 천리마-316형 무궤도..
2023년 아오지탄광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악명 높은 아오지 탄광 북한탄광의 대명사 악명 높은 아오지 탄광 함경북도 경흥군에 있는 탄광이며, 주로 갈탄이 매장돼 있습니다. 아오지탄광은 북한 정치범 수용소로 유명합니다. 일제강점기부터 사고가 많아 악명이 높은 탄광이었으며, 이후 북한 체제에 반대하는 세력들은 이곳에 보내져 고된 노동을 해야 했습니다. 1930년대 이후 국내 석탄산업을 주도한 것은 아오지탄광이었습니다. 아오지탄광이 한반도 최대 규모의 탄광이었던 셈이죠. 1910년대까지 국내 석탄산업을 주도하던 평양광업소에 이어 1920년대부터는 국내 최대 탄광인 아오지탄광(함경북도 은덕군, 당시는 경흥군으로 불렸음)이 개광되어 양대 산맥을 이뤘습니다. 남한 최대규모 탄광인 삼척탄광의 매장량은 2억톤인데 비해 아오지 탄광의 매장량은 150억 톤에 달합..
풍산개가 아니라 김형권개? 풍산개의 유래 호랑이 잡는 개, 풍산개 풍산개는 함경남도 풍산군 풍산면과 안수면 일대에서 기르던 북한 지방 고유의 사냥개입니다. 풍산군은 현재 양강도 김형권군으로 바뀌었죠. 원래 풍산군은 1914년에 함경남도 갑산군 일부, 북청군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신설한 군으로서 당시 리인면 소재지였던 풍년촌의 ‘풍’자와 갑산군의 ‘산’자를 따서 풍산이라고 했습니다. 1990년 8월 김일성의 숙부인 김형권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명칭을 바꾸었다고 합니다. 김정숙군이나 김형직군처럼 김일성 일가의 우상화를 위해 개명한 것인데요. 풍산개가 김형권개가 아닌 풍산군으로 유지되는 것은 고유명사화 됐기 때문이 아닌가 싶네요. 풍산개는 북한의 천연기념물 368호이기도 합니다. 중형견으로 평소 성격은 유순하지만 적과 싸울 때는 엄청 사납다죠. 경계..
백두산의 진짜 높이는 2744m가 맞을까 백두산은 2744m? 2750m? 백두산은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백두산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한반도의 기본 산줄기인 백두대간의 시작점입니다. 남한에서는 백두산의 높이를 2744m로, 북한에서는 2750m로 측량하는데, 이는 두 나라의 수준원점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수준원점이란 해발고도를 잴 때 기준으로 삼는 해수면을 말합니다. 남한은 인천 앞바다의 평균 해수면을, 북한은 원산 앞바다의 평균 해수면을 수준원점으로 삼습니다. 다만, 현재 백두산은 북한에 속해 있으므로 북한에서 측량한 대로 2750m를 백두산의 높이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백두산 꼭대기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칼데라호(화산호수)인 천지가 있죠. 백두산 기슭의 아름다운 연못, 삼지연 백두산에는 천지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백두산 기슭에 있..
북한의 무기들은 어디서 만들어질까, 북한 군수산업 군수산업이 발달한 자강도 자강도는 한반도 북서부, 평안북도의 북쪽에 위치합니다. 동쪽으로는 양강도와 함경남도, 서쪽은 평안북도, 남쪽은 평안남도에 닿아 있습니다. 자강도의 북쪽은 중국입니다. 자강도는 1954년 북한 당국이 평안북도 대부분과 함경남도 일부를 분리·통합해 신설한 곳입니다. 당시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자성군에서 자를, 강계군에서 강을 각각 따와 명칭을 지었습니다. 주요 도시로는 도청 소재지 강계를 비롯해 만포, 희천이 있습니다. 자강도는 자연환경이 무척 척박한 편입니다. 도 면적이 거의 대부분이 산지고, 평균 해발고도가 800m를 넘습니다. 랑림산맥과 강남산맥, 적유령산맥, 묘향산맥이 모두 이 지방을 지나죠. 바다와 닿지 않은 내륙지방인데다 위도와 고도도 높기 때문에 상당히 춥습니다. 한반도..
평안도 사람은 깍쟁이, 함경도 사람은 오지라퍼 북한 정치와 경제의 중심 평안남도 한반도의 북서부, 북한의 중심지역에 있습니다. 아래로는 평양직할시, 남포특별시가 나란히 자리하고 있습니다. 원래 평안남도의 도청 소재지가 평양이었지만, 평양이 북한의 수도로 직할시가 된 후에 도청을 평성으로 옮겼습니다. 2010년을 기준으로 평안남도 안에는 평성, 개천, 덕천, 순천, 안주 등 5개 도시가 있으며 그 밑으로 15개의 군과 1개 지구, 1개 구가 있습니다. 평안도라는 지명은 조선 초인 1413년, 전국이 8도로 개편되던 해에 붙여졌습니다. 당시 관례에 따라 해당 지역 안의 가장 큰 두 고을인 평양과 안주의 앞 글자를 따서 평안도라고 정한 것입니다. 1896년 전국을 13도로 구분할 때 평안도가 평안남도와 평안북도로 분리됐습니다. 평안남도 동부에는 랑림산맥이..
북한 강원도의 도청소재지는 어디? 금속공업으로 유명한 황해북도 이번 시간에는 인구 210만명의 황해북도와 남북으로 갈라진 북한의 강원도를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황해북도는 '북도'이지만, 황해남도 동쪽에 위치합니다. 황해북도의 동쪽에는 강원도, 북쪽에는 남포특별시와 평양직할시, 평안남도가 있습니다. 황해북도는 평야가 넓게 펼쳐져 있는 황해남도에 비해 산지와 구릉이 많습니다. 바다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보이는데, 북한에서는 남쪽에 위치한 만큼 다른 지역보다 평균 기온이 높은 편입니다. 황해북도는 도청 소재지인 사리원시를 중심으로 화학공업과 기계공업이 발달했습니다. 황해북도 봉산군은 석회석이 많이 매장돼 있어 시멘트공업으로 유명합니다. 황해북도의 2개 도시 중 하나인 송림시에는 황해제철소가 있어 중공업이 발달했습니..
한반도 4대명산이 북한에 있다고? 황해남도의 명산 황해남도는 북한 남부의 가장 서쪽에 위치한 지역입니다. 동쪽으로는 황해북도, 서쪽으로는 서해, 북쪽으로는 남포특별시와 맞닿아 있습니다. 황해남도의 도청 소재지는 해주시로, 해주시가 유일한 도시고 나머지는 군 단위의 작은 지역들이죠. 조선 초 1413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관례에 따라 지역 내 가장 큰 두 마을인 황주에서 '황'을, 해주에서 '해'를 각가 따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1954년 북한 당국의 행정개편으로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됐죠. 황해남도와 다른 지역과의 경계에는 모두 재령강과 예성강, 대동강 등 강이 흐릅니다. 연백평야와 취야평야가 펼쳐져 있으며, 쌀이 많이 나지 않는 북한에서는 이곳이 가장 유명한 쌀 산지죠. 따라서 농사가 특히 발달했다고 합니다. 북한의 최남단에 치우쳐져 있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