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세계의 분쟁지역

(20)
쿠데타 반복되는 니제르, 도대체 왜?...니제르의 역사 대통령이 축출된 뒤 여당 당사가 불타고 있습니다. 군부 쿠데타가 일어난 아프리카의 국가, 니제르의 상황입니다. 혼돈의 니제르에는 대체 무슨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요. 니제르는 왜 이렇게 된 것일까요. 오늘은 니제르의 현대사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칼리프 국가였던 니제르,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다 니제르는 아프리카 중서부 내륙에 있는 공화국. 정식명칭은 니제르공화국입니다. 니제르는 19세기 이슬람 신정 국가였습니다. 하우사족 성직자 우스만 딘 포디오의 지휘를 받는 풀라족이 기마 유목민 문화를 도입하고 기병 전역을 강화하며, 하우사계 소국들을 통일하고 이슬람 신정 국가인 소코토 칼리프국을 세웠죠. 당시 풀라족들이 세운 소코토 칼리프국은 단순한 연맹 국가가 아닌 나이지리아 최초의 봉건 제국이었습니다.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역분리 운동의 역사 중국 북서부에 위치한 신장 위구르 자치구는 과거 서유기 무대로 알려졌으며 서역이라고 불리는 곳입니다. 신장 지역은 지리적으로 아시아 대륙 중앙부에 위치하며, 고대 실크로드에서 중국과 중앙아시아를 연결하는 요충지에 해당합니다. 신장 지역 면적은 166만제곱킬로미터로 중국 면적 1/6을 차지하며 중국 성 중 면적이 가장 넓고 한반도 면적 7.5배 크기입니다. 중국 최대 면적을 자랑하는 자치구답게 8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습니다. 척박하지만 광물로 가득한 동투르키스탄 신장 지역 면적 56%는 산지이고, 44%는 저평한 분지와 사막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톈산산맥과 쿤룬산맥 사이에 위치한 타림 분지 면적은 약 56만제곱킬로미터이고, 분지 중앙에는 위구르어로 '살아서 돌아올 수 없을 정도로 끝이 없이 넓은 땅'을 ..
출구가 보이지 않는 카슈미르 분쟁 정리 카슈미르 분쟁의 시작은 1945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945년 영국 총선에서 승리한 노동당은 영국이 인도 제국을 관할할 여력이 없다고 판단하고 식민지 독립을 준비합니다. 영국은 종교에 의한 두 국가론을 수용해 힌두교 국가 인도와 이슬람 국가 파키스탄으로 분할 독립하는 원칙을 확정합니다. 이 원칙에 따라 1200만여명이 국경을 넘는 민족 대이동이 일어납니다. 그리고 힌두교와 이슬람교가 혼재하는 벵골 펀자브 아삼 등지는 지역 주민이 합의해 투표로 귀속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을 세웁니다. 인도-파키스탄 독립에도 여전히 남은 카슈미르 문제는 카슈미르였습니다. 독립 당시 카슈미르 지역 주민 400만여명 중 77%가 무실림이고 힌두교와 시크교 주민은 소수였습니다. 그런데 힌두교를 믿는 도그라족 출신이 다수 무..
인도네시아 분쟁지역, 동티모르부터 서파푸아까지 인도네시아로부터 독립에 성공한 동티모르 인도네시아는 여러 섬으로 구성된 나라이기 떄문에 그만큼 분쟁지역도 많습니다. 우선 분리독립에 성공한 동티모르를 살펴보겠습니다. 티모르 섬은 소순다 열도 동쪽 끝에 위치합니다. 전체 면적은 약 3만3900제곱킬로미터로 우리나라의 1분의3 정도 크기입니다. 티모르의 서쪽은 인도네시아령이고, 동쪽은 2002년 독립한 동티모르로 우리나라 경상북도 면적과 비슷합니다. 티모르섬에는 향신료 나무가 많이 서식하고, 특히 고급 가구 제작용 목재로 알려진 흑단, 자단 등 향나무가 많이 분포합니다. 섬의 동부와 서부는 종교 문화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서부는 이슬람교를 주로 믿고, 동부는 포르투갈 영향으로 대부분 가톨릭교를 믿습니다. 1505년경 티모르섬에 포르투갈이 들어오고,..
소련 아프가니스탄 침공, 탈레반의 복귀 카불에 입성했지만 무자헤딘에 굴복한 소련 1947년 파키스탄이 영국에서 독립하자, 아프가니스탄은 파키스탄에게 듀렌드 라인의 재획정을 요구하지만 동의를 얻지 못합니다. 또한 아프가니스탄 파슈툰족은 파키스탄에 사는 파슈툰족과 함꼐 파슈투니스탄 창설을 제안하지만 이 또한 성사되지 못합니다. 영국이 인도반도에서 철수하자 수련은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아프가니스탄에 친러시아 정권을 수립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레이트 게임에서 영국에게 뒤쳐졌던 당시 상황을 역전시켜 보려는 의도가 내포돼 있었던 것인데요. 아프가니스탄은 1972년까지 기존 왕조 체제가 유지되지만, 1973년 국왕 친족인 모하메드 다우드 전 총리가 쿠데타를 일으켜 아프가니스탄민주공화국을 수립합니다. 친소 성향을 보인 다우드 대통령은 197..
아프가니스탄의 지리와 복잡한 종족 구성 국토 전체 3/4가 해발 1000미터 이상인 고원의 나라 아프가니스탄은 상당히 복잡한 종족구성과 지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프가니스탄의 정식 국명은 아프가니스탄이슬람공화국인데요. 면적은 65만2864제곱킬로미터로 한반도 크기의 세 배 정도입니다. 아프가니스탄은 전형적인 내륙국으로 동쪽은 중국, 남쪽과 남동부는 파키스탄, 서쪽은 이란, 북쪽은 투르크메니스탄과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등 6개 국가와 국경을 맞대고 있습니다. 국경선 길이는 약 5826킬로미터에 이릅니다. 인구는 대략3500만명인데요. 아프간은 페르시아어로 사나운 또는 조용하지 않은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아프가니스탄은 국토 전체 3/4 정도가 해발 1000미터 이상의 고원에 속합니다. 힌두쿠시가 국토 중앙에 자리 잡고 있어 국토..
남북 예멘 통일과 후티 반군의 등장 1980년대까지 분단됐던 국가 예멘 예멘은 1980년대까지 분단된 국가였습니다. 1980년대 중반 구소련 개혁, 개방 정책으로 예멘에서도 통일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집니다. 하지만 예멘은 남과 북이 역사 문화적으로 다른 길을 걸어왔기에 통합이 쉽지 않은 곳이었습니다. 중세부터 부족과 종교적으로 차이가 많은 소왕국이 계속 이어졌고, 이후에는 오스만 제국과 영국 지배를 받으면서 남북 지역 간 이질성이 뚜렷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대 찬란한 문명을 꽃피운 시바 왕국 후손이라는 자부심은 이들에게 공동체적 동질성을 제공하면서 통합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분위기가 형성됐습니다. 1980년대 중반 남북 국경 주변에 대규모 유전이 발견되면서 공동 개발이 필요해졌고 상대적으로 낙후된 남예멘은 북예멘의 경제적 ..
소말리아와 달리 평화로운 소말릴란드, 그곳에도 반군이? 동아프리카 소말릴란드에서 정부군과 반군의 충돌로 최소 34명이 숨졌다고 로이터 통신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소말릴란드 정부는 트위터에서 반정부 무장단체가 이날 오전 일찍 동부 소말리아 접경 술 지역 라스아노드의 군부대와 정부 사무실을 공격했다고 밝혔는데요. 정부군이 반군을 퇴치하는 과정에서 최소 34명이 숨지고 40명이 다쳤다고 라스아노드 병원의 한 의사가 전했습니다. 이날 공격의 배후를 자처하는 단체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이번 사건이 주목받는 건 소말리아와 달리 소말릴란드는 비교적 안정된 치안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알려져서인데요. 1991년 소말리아 북부에서 독립을 선언한 소말릴란드는 아직 국제 사회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지만, 본토와 달리 상대적으로 정치적 안정을 유지해 왔습니다. 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