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슈미르 분쟁의 시작은 1945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945년 영국 총선에서 승리한 노동당은 영국이 인도 제국을 관할할 여력이 없다고 판단하고 식민지 독립을 준비합니다. 영국은 종교에 의한 두 국가론을 수용해 힌두교 국가 인도와 이슬람 국가 파키스탄으로 분할 독립하는 원칙을 확정합니다. 이 원칙에 따라 1200만여명이 국경을 넘는 민족 대이동이 일어납니다. 그리고 힌두교와 이슬람교가 혼재하는 벵골 펀자브 아삼 등지는 지역 주민이 합의해 투표로 귀속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을 세웁니다.
인도-파키스탄 독립에도 여전히 남은 카슈미르
문제는 카슈미르였습니다. 독립 당시 카슈미르 지역 주민 400만여명 중 77%가 무실림이고 힌두교와 시크교 주민은 소수였습니다. 그런데 힌두교를 믿는 도그라족 출신이 다수 무슬림을 지배하고 있어 종교에 의한 분할 방식을 적용하기도 애매한 상황이었습니다. 특히 카슈미르 밸리에는 카슈미르어를 사용하는 무슬림이, 잠무에는 도그라어와 펀자브어를 사용하는 힌두교계 주민이 많았습니다. 이런 복잡함 때문에 영국은 카슈미르 영토 지위 문제를 처리하지 못하고 인도를 무책임하게 떠나버립니다. 1947년 8월14일 파키스탄이, 8월15일 인도가 각각 독립을 하는데요. 인도와 파키스탄은 카슈미르 지위 문제, 즉 카슈미르를 독립국으로 만들거나 아니면 인도 또는 파키스탄 중 어느 한 국가로 귀속하는 문제에 대한 결정권을 굴랍 싱 손자인 하리 싱 왕이 갖는다는 것에만 동의합니다. 이런 이유로 카슈미르는 인도와 파키스탄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준독립 상태의 영토로 남게 되고 카슈미르를 놓고 인도와 파키스탄 간 국경선도 확정하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1947년 10월 세금 징수에 불만을 품은 아자드 카슈미르의 퐁치 지역과 북서 변경 지역 하자라에 사는 무슬림 파탄족이 카슈미르를 침공합니다. 당시 하리 싱 왕은 파키스탄 무슬림 연맹의 지원을 받은 파탄족을 제압하기 위해 인도에 군대 파병을 요청하고 동시에 잠무 카슈미르를 인도로 귀속한다고 선언합니다. 카슈미르에 거주하는 다수 집단인 무슬림의 요구와 반대되는 결정을 한 것이죠. 하리 싱의 이런 결정에 잠무 카슈미르에 거주하던 무슬림이 반발하고, 파키스탄이 무슬림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군대를 카슈미르에 투입하면서 인도와 파키스탄 간 전쟁이 발발합니다. 이를 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이라고 합니다. 이슬람교 무장 단체인 잠무카슈미르 해방전선은 파키스탄 군대와 협력해 인도 군대를 상대로 전투를 수행합니다.
잠뮤 카슈미르를 합병해버리는 인도, 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전쟁은 UN 중재로 1949년 1월 끝납니다. UN이 제시한 중재안은 정전과 주민투표였습니다. 정전이란 양국 군대가 당시 점령선에서 모든 전투 행위를 중지하고 정전선을 설치하는 것으로 1949년 11월경 800km에 달하는 정전선이 만들어집니다. 카슈미르는 인도 점령 구역 63%, 파키스탄 점령 구역 37%로 분할되며 당시 설정된 통제선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시 UN이 중재안으로 제시한 카슈미르를 인도와 파키스탄 중 어디로 귀속시킬 것인가에 대한 주민 투표는 지금까지 끝내 실시되지 못했고, 인도는 주민 투표를 통하지 않고 잠무 카슈미르를 자국의 영토로 합병해버립니다.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은 카슈미르가 아닌 인도 서부 구자라트주에 있는 란 쿠츠에서 비롯됩니다. 이 일대는 큰 호수와 넓은 소금 사막이 있어 독립 당시부터 양국 간 국경선 획정이 어려웠던 곳입니다. 1965년 4월 란 쿠츠 지역에서 국경선 문제로 충돌이 일어나자 인도가 파키스탄을 공격하면서 전쟁이 일어납니다. 이후 카슈미르에서 활동하던 잠무카슈미르해방전선을 비롯한 무슬림 무장 세력들이 인도를 공격하고, 인도가 반격하면서 전선은 확대됩니다. 전쟁이 발발하자 구소련은 인도를, 중국은 파키스탄을 지원하지만 1966년 1월 구소련 중재로 양국이 통제선 밖으로 군대를 철수하면서 휴전합니다.
1967년 10월 파키스탄은 중국과 파키스탄을 연결하는 카라코람 하이웨이 건설 확장 계획을 발표합니다. 인도는 파키스탄 고속도로 건설이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향후 인도와 파키스탄 간 전쟁이 일어나면 이 길을 통해 파키스탄을 지원하는 중국 군대가 들어올 것이라고 의심했습니다. 결국 고속도로는 1979년 개통됩니다.
방글라데시의 독립, 내전에 뛰어드는 인도
하지만 제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의 단초는 고속도로가 건설되는 카슈미르가 아닌 다른 곳에서 기인합니다. 1970년 11월 지금의 방글라데시에서 대형 사이클론 피해로 약 20만명이 사망하는 재난이 발생합니다. 파키스탄 정부가 구호 대책에 소극적으로 대처하면서 동파키스탄 주민들의 불만이 폭발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대형 재해가 발생하면서 동파키스탄 주민들이 가지고 있던 분리주의 움직임이 폭발합니다. 동파키스탄 주민은 건국 기념일을 계기로 폭동을 일으키고, 서파키스탄으로부터 분리 독립하겠다고 주장합니다. 서파키스탄 정부는 이를 진압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고, 서파키스탄 출신 병사들이 동파키스탄 주민들을 무차별적으로 진압하면서 주민 폭동은 내전으로 확대됩니다. 내전이 지속되면서 낳은 나민들이 동파키스탄에서 인도로 피난을 가자 인도 정부는 이를 해결한다는 명분으로 내전에 참여합니다. 파키스탄은 전선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1971년 12월 인도령 카슈미르를 공격하면서 제3차 전쟁이 일어납니다.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이슬람회의기구 회원국들이 파키스탄을 지원하지만 인도 승리로 막을 내리고 1972년 7월 동파키스탄은 방글라데시로 독립합니다.
인도령에 속한 잠무 카슈미르에 거주하는 무슬림 대부분은 지금도 인도령을 부정하면서 투쟁하고 있습니다. 1980년대 중반부터 무장 단체들은 게릴라식 독립 운동을 전개하고 있는데 잠무 카슈미르에서 활동하는 무슬림의 무장 세력은 크게 두 집단으로 나뉩니다. 파키스탄도 인도도 아닌 카슈미르만 분리 독립을 해야한다고 요구하는 세력과 파키스탄으로 편입하겠다고 주장하는 세력입니다. 전자는 잠무카슈미르해방전선이고, 후자는 히즈블무자헤딘입니다.
양측이 대립하고 있지만 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이후 큰 분쟁은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나 잠무 카슈미르 영유권을 두고 양국은 여전히 대립중입니다. 서로 견제하기 위해 핵무기까지 보유했죠. 잠무 카슈미르에서는 분리주의 무장 세력과 인도군 사이에 크고 작은 충돌도 자주 발생합니다.
소련 아프가니스탄 침공, 탈레반의 복귀
카불에 입성했지만 무자헤딘에 굴복한 소련 1947년 파키스탄이 영국에서 독립하자, 아프가니스탄은 파키스탄에게 듀렌드 라인의 재획정을 요구하지만 동의를 얻지 못합니다. 또한 아프가니스탄
peace2022.tistory.com
'세계의 분쟁지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데타 반복되는 니제르, 도대체 왜?...니제르의 역사 (0) | 2023.08.05 |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역분리 운동의 역사 (1) | 2023.03.10 |
인도네시아 분쟁지역, 동티모르부터 서파푸아까지 (0) | 2023.02.16 |
소련 아프가니스탄 침공, 탈레반의 복귀 (0) | 2023.02.15 |
아프가니스탄의 지리와 복잡한 종족 구성 (0) | 202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