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로켓과 무유도로켓 발사 가능한 천무
천무는 한국형 다연장 로켓포인 K136 구룡을 대체하기 위해 2006년 4월4일 긴급 소요제기된 무기체계입니다. 2009년부터 13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개발한 천무는 2013년 말까지 개발을 완료했습니다. 2017년 현재 군단급 예하부대에 초도배치를 완료했습니다.
천무 다연장로켓 체계가 갖는 의미는 하나의 플랫폼에서 유도 로켓과 무유도 로켓을 발사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천무 차량에 다양한 로켓탄을 실어 기동하며 단시간에 사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천무 발사 차량 이외에 탄약운반 차량이 동행합니다. 탄의 구경은 기존의 구룡과 같은 130mm부터 227mm탄과 230mm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30mm탄은 40발, 227mm탄은 12발, 230mm GPS탄은 12발을 탑재합니다. 천무를 위해 개발된 탄은 230mm로, M101급 자탄을 사용하며 GPS/IMU 유도, 사거리 80km입니다.
육군은 천무를 GPS/GBNS 유도방식의 대포병 무기체계로 운용합니다. 차량은 한화디펜스가 제작한 8X8 전술차량을 사용하며, 적의 소화기탄을 방호할 수 있는 기본 방탄능력을 부여했습니다. 1차 발주 대수는 77문인데요. 한화는 체계종합, 유도탄, 무유도탄을 담당하며, 한화디펜스는 발사대와 탄약운반차 생산을 맡고 있습니다. 국방부는 북한의 장사정포에 대응하기 위해 천무를 북방한계선 지역과 군사분계선 일대에 배치하고 있습니다.
천무 차대는 차륜형입니다. 차륜형은 수명 주기 비용, 운용비용, 획득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포병체계는 전차 등 기갑차량과 비교하여 야지 기동 의존도와 요구무게가 크지 않은데요. 차륜형 차량기술의 발전에 따라 궤도형과 비교해 작전능력이 크게 떨어지지도 않습니다. 차체는 두산인프라코어에서 천무 발사대를 위해 새로 개발되었습니다. 기존의 현무-II의 발사대의 플랫폼이나 차륜형 장갑차의 차대를 이용하려고 하였으나 너무 비싸서 염가형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다연장로켓 발사시스템
다연장로켓발사시스템은 1998년부터 2008년 사이에 2개 대대분 58문이 도입됐습니다. 제작사는 록히드마틴입니다. 1차분은 1998년 실전에 배치됐고, M270형으로 분류합니다. 1차로 29차량과 168기의 로켓 포드에 도입해 배치했는데요. 이후 개량형 M270A1형을 퐘해 2차로 도입한 29차량을 2005년부터 실전부대에 배치했습니다.
K136 130mm 다연장로켓 구룡
구룡 다연잘 로켓포는 북한군의 122mm 다연장 방사포에 대응해 개발한 한국형 무기체계 중 하나입니다. 4X9발사관을 5t 트럭에 탑재하며 탄약트럭이 동행합니다 .1981년부터 양산 배치하기 시작해 150여문을 실전에 투입했습니다. 구룡 사격은 방위각과 고각 구동, 안정판 작동을 위해 유압모터를 사용합니다. 사격을 위한 방열은 빠르면 2~3분 내에 가능하고, 사격제원 계산기를 사용합니다. 구룡 로켓탄은 구룡1로 분류되는 130mm 탄과 구룡2로 분류되는 131mm 탄을 사용합니다. 기존 탄은 사거리 23km, 개량형 탄은 사거리 36km로 고폭탄과 함께 파편탄을 사용합니다.
2.75인치 유도로켓 비궁
해상으로 기습 침투하는 북한의 고익부양정을 격파하는 2.75인치 유도로켓이 백령도, 연평도 등 서북도서에 배치됐습니다. 2.75인치 유도로켓은 국방과학연구소와 LIG넥스원이 지난 2012년부터 700억원을 투입해 개발에 착수한 지 3년 만에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사거리가 5~8km로 추정되는 이 유도로켓은 서북도서 해상으로 고속 침투하는 북한의 공기부양정을 격침하는 무기체계입니다. 이 유도로켓은 유도조종 장치, 조종날개, 영상탐색기, 관성센서, 발사관 탑재차량, 여러 개의 표적을 동시에 탐지하는 표적탐지기, 비냉각 동체고정형 적외선탐색기 등으로 구성됐습니다. 국내 경공격헬기에 탑재할 수 있으며, 지상에서 운용도 가능합니다. 여러개의 표적을 동시에 탐지할 수 있고 탐지 후 20초 이내에 발사해 다수 표적을 제압할 수 있는 이 유도로켓의 대당 가격은 수천만원입니다. 길이 1.9m 무게 15kg이고, 50m 길이의 원격케이블을 이용해 벙커 안에서도 발사 버튼을 누를 수 있어 유사시 운용 요원들의 생존성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자주포, K9, K9A1자주포의 특징, 가격은 (0) | 2023.02.06 |
---|---|
한국의 소화기, K1A 기관단총부터 K2 소총까지 (0) | 2023.02.05 |
K806, K808 한국군 차륜형 장갑차의 개발 (0) | 2023.01.15 |
K21부터 K200까지, 한국군의 장갑차 (0) | 2023.01.14 |
국군의 주력전차, K2부터 T80U까지 (2) | 2023.01.07 |